업데이트(2021.04.18): 내용과 예시 추가

Python에서 리스트에 있는 튜플이나 클래스를 통해서 생성한 객체를 정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

환경 및 선수조건

  • Python(3.X)


sort()함수와 sorted()함수

  • Python에서 제공하는 정렬함수는 기본적으로 stable을 보장한다. (관련문서)


sort()

  • sort(): 현재 리스트를 정렬
a = [3,5,7,8,2,6]
a.sort()

sorted()

  • sorted(): 함수의 인자로 들어온 리스트를 정렬해서 반환
a = [3,5,7,8,2,6]
b = sorted(a) # b에 정렬된 리스트가 새로 생성됨


key 매개변수 이용하기

  • key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비교하기전에 함수를 정의 할 수 있다.
  • key매개변수는 하나의 인자를 갖는 함수여야하며 정렬에 사용할 key를 반환해야한다.


튜플(tuple)을 사용하는 경우

  • 사용 예시
example_tuples = [ ('A', 3, 'a'), ('B', 1, 'b'), ('C', 2, 'c') ]

# 정렬
# 튜플의 2번째 원소 기준으로 정렬
example_tuples.sort(key = lambda element : element[1])

print(example_tuples)
  • 결과
[('B', 1, 'b'), ('C', 2, 'c'), ('A', 3, 'a')]


객체(Object)를 사용하는 경우

  • 사용 예시
class Example:
	def __init__(self, big, number, small):
		self.big = big
		self.number = number
		self.small = small

example_objects = [ Example('A', 3, 'a'), Example('B', 1, 'b'), Example('C', 2, 'c') ]

# 정렬
# 객체의 number 속성을 기준으로 정렬
example_objects.sort(key = lambda object : object.number)

for example_object in example_objects:
    print(example_object.big
          + " " + str(example_object.number)
          + " " + example_object.small)
  • 결과
B 1 b
C 2 c
A 3 a


정렬 관련 기타

내림차순 정렬

  • sort( reverse=True ): 현재 리스트를 내림차순으로 정렬
a = [3,5,7,8,2,6]
a.sort(reverse=True)

print(a)
[8, 7, 6, 5, 3, 2]


참고자료

Python에서 is와 ==의 차이를 알아보자


환경 및 선수조건

  • Python


is와 ==의 차이

  • is는 변수가 같은 Object(객체)를 가리키면 True
  • ==는 변수가 같은 Value(값)을 가지면 True


‘is’의 예시

  • a와 b는 같은 리스트 객체를 가리킨다.
  • a와 b는 같은 객체이기 때문에 True
  • a와 c는 값은 같지만 다른 객체이기 때문에 False

>>> a = [1,2,3]
>>> b = a
>>> c = [1,2,3]
>>> a is b
True
>>> a is c
False

is

’==’의 예시

  • a와 b는 같은 리스트 객체를 가리킨다.
  • a와 b는 값들을 가진 리스트이기 때문에 True
  • a와 c는 값들을 가진 리스트이기 때문에 True

>>> a = [1,2,3]
>>> b = a
>>> c = [1,2,3]
>>> a == b
True
>>> a == c
True

double-equal


참고자료

해시 테이블에서 문자열을 받았을 때 해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


환경 및 선수조건


String을 Key값으로 받았을 때

  • 1번의 방식은 단순하나 중복이 될 가능성이 크며 2~3번의 방식이 분포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.
  • 만약 연산중에 혹은 결과 값이 해시 테이블의 크기보다 크다면 해시 테이블의 크기만큼 나누어서 나머지의 값을 취하면 된다.


1. 문자열에 있는 문자들을 모두 더하기

  • 문자열에 있는 문자들을 다 더해서 계산하는 방식
  • 단,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“abc”, “acb” 그리고 “cba”의 결과가 모두 같다는 단점이 있다. 즉 hashCode("abc")==hashCode("acb")==hashCode("cba")

int hashCode(String s){
	int r = 0;

	for(int i = 0; i < s.length(); i++){             
		 r += s[i];
	}

	return r;
}


2. 다항식을 이용해서 구하기

  • h(s) = xk-1 × ak-1 + xk-2 × ak-2 + ... + x0 × a0와 같은 다항식을 바탕으로 만드는 방식
  • 특정한 값 a(일반적으로 소수가 좋다고 한다.)를 곱하고 문자열에 있는 문자를 더하면서 완성해가는 방식

int hashCode(String s){
	int i;
	int r = 0;

	// Special Prime Number
	int a = 33;

	for(i = 0; i < s.length(); i++){
		 r += r*a + s[i];   
	}

	return r;
}


3. 시프트(Shift) 연산자를 이용해서 구하기

  • 위에 2번에 있는 다항식의 방법과 똑같은데 시프트(Shift)연산을 이용해서 값을 곱하는 방식

int hashCode(String s){
	int i;
	int r = 0;

	for(i = 0; i < s.length(); i++){
		 r += (r<<4) + s[i];   
	}

	return r;
}


참고자료

집합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유니온 파인드(Union Find)와 서로소 집합(Disjoint Set)에 대해서 알아보자


환경 및 선수조건

  • C++


유니온 파인드(Union Find)란?

정의

  • 유니온 파인드(Union Find): 서로소 집합(Disjoint Set) 그리고 병합 찾기 집합(Merge Find Set)이라고도 불리며 여러 서로소 집합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자료구조를 의미합니다.

예시

  • 다음 아래와 같이 원소들이 있다고 가정을 했을 때


  • 각각의 원소들이 어떤 원소들과 연결이 되어있는지 입력을 받는다고 가정하면(1-2, 2-5, 5-6, 5-8, 3-4 이런 방식으로) 아래와 같이 3개의 서로소 집합이 나올 수 있다.


구현

원리

  • 배열을 이용해서 Tree 자료구조를 만들어 구현하며 위에 나와 있는 {1, 2, 5, 6, 8}, {3, 4}, {7}의 경우에는 아래처럼 표현 및 구현이 가능합니다.
  • 즉, 최상단 노드인 Root노드를 집합을 구분하는 ID처럼 생각하면 이해가 더 편합니다.

Tree

  • 주어진 두 원소 또는 집합을 합하는 Union부분과 원소가 어떤 집합에 있는지 찾는 Find함수로 이루어져있다.
  • parent[i]: 원소 i의 부모 노드를 가지고 있는 배열, parent[i]i의 부모 노드

초기화

  • 처음에 각각의 원소들은 연결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부모로 자기 자신을 가지고 있다.
  • 즉, parent[i] = i;

for(int i=1; i<=n; i++){
    parent[i] = i;
}

Find 함수

  • Find(x) 함수: x로 들어온 원소의 Root노드를 반환

int Find(int x){

    // Root인 경우 x를 반환
    if(x == parent[x]){
        return x;
    }
    else{
        // 아니면 Root를 찾아감
        int p = Find(parent[x]);
        parent[x] = p;
        return p;
    }

}

Union 함수

  • Union(x,y) 함수: x원소와 y원소를 합치는 함수로 y의 Root노드를 x로 한다.

// x와 y의 원소가 들어오면
// 각각 x에는 들어온 x의 Root 노드 y에는 들어온 y의 Root 노드를 저장해서 비교하고
// x에 y를 붙이는 방식 -> y의 Root 노드를 x로 설정

void Union(int x, int y){

    x = Find(x);
    y = Find(y);

    if(x!=y){
        parent[y] = x;
    }
}


관련 문제 및 예제
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dio.h>

using namespace std;

int parent[1000001];

int Find(int x){

	if(x == parent[x]){
		return x;
	}
	else{
		int y = Find(parent[x]);
		parent[x] = y;
		return y;
	}

}

void Union(int x, int y){

	x = Find(x);
	y = Find(y);

	parent[y] = x;

}

int main(){

	int n,m;

	scanf("%d %d", &n, &m);

	// 배열 생성 및 초기화
	// 처음에는 자기 자신이 부모이다 -> 모두 떨어져있기 때문
	for(int i=0; i<=n; i++){
		parent[i] = i;
	}

	int op, a, b;
	while(m--){
		scanf("%d %d %d", &op, &a, &b);

		if(op == 0){
			Union(a,b);
		}

		else if(op == 1){
			int a_parent = Find(a);
			int b_parent = Find(b);

			if(a_parent == b_parent){
				printf("YES\n");
			}
			else{
				printf("NO\n");
			}
		}
	}
	return 0;
}

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iostream>

using namespace std;

int computers;
int connections;

int parent[101];

int Find(int x){

	if(x == parent[x]){
		return x;
	}
	else{
		int y = Find(parent[x]);
		parent[x] = y;
		return y;
	}

}

void Union(int x, int y){

	x = Find(x);
	y = Find(y);

	if(x!=y){
		parent[y] = x;
	}


}

int main() {

	scanf("%d", &computers);
	scanf("%d", &connections);

	// 초기화
	// 처음에는 각각 노드가 부모노드가 자기자신
	for(int i=0; i<=computers; i++){
		parent[i] = i;
	}

	int u,v;
	while(connections--){
		scanf("%d %d", &u, &v);

		Union(u,v);
	}

	// Root 노드가 1인 노드를 검색해서 cnt에 더해줌
	int cnt = 0;
	for(int i=2; i<=computers; i++){
		if(Find(1) == Find(i)) cnt++;
	}

	printf("%d\n", cnt);

	return 0;
}


참고자료

쉘에서 두 명령어의 차이를 알아보자.


환경 및 선수조건

  • Shell Command


>와 »의 차이

Linux를 기반으로 한 환경에서

  • >: 명령어 뒤에 나오는 파일에 쓸 때 사용(=write or overwrite)

  • >>: 명령어 뒤에 나오는 파일에 추가할 때 사용(=append)


예시

  • >의 경우

다음 아래 같이 사용하면 test.txt라는 파일이 없을 때는 생성하며 있다면 내용을 덮어쓰게 됩니다.

$ echo abcde > test.txt
  • >>의 경우

다음 아래 같이 사용하면 test.txt라는 파일이 없을 때는 생성하며 있다면 test.txt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게 됩니다.

$ echo abcde >> test.txt


참고자료